오미크론 유행 확산세가 커지면서 코로나19에 걸린 교사가 원격수업을 진행하거나 교장·교감이 담임 업무를 대체하는 등 교내 업무 공백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교육계에서 계속 제기되고 있다.
교사들은 교육부의 대체인력 지원 방안에 대해선 “현장에 와 닿지 않는다”며 고개를 젓고 있다.
6일 교육계에 따르면 등교 첫 주 교사들이 집단감염된 일부 학교에선 대체인력 확보가 여의치 않아 재택치료 중인 교사들이 그대로 수업에 투입되는 사태가 속출했다. 관리자인 교장·교감이 담임을 맡거나 수업에 투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인천 한 중학교의 교과 교사 A씨는 지난달 28일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체교사가 구해지지 않아서다.
A씨는 “수업 시간이 하루에 2~3시간씩 흩어져 있는데 현실적으로 그 시간에 맞게 강사를 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교사들이 어쩔 수 없이 확진돼도 수업을 소화하고 있고 그래도 부족하면 보강으로 처리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서울 소재 B초등학교에선 지난 3~4일 양일간 교장·교감이 담임업무와 수업에 투입됐다. 개학을 앞두고 교직원 10여명이 무더기로 확진됐는데 기간제 교원과 강사로도 공백이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초등학교의 교무부장 C씨도 확진돼 지난달 28일부터 격리 중이지만 집에서 공문 등 업무를 처리했다. 업무를 대신해줄 사람이 없어서다.
C씨는 “수업 말고도 공문처리와 교육청 보고 등 날짜가 정해진 업무는 누군가 해야 하는데 대신 해 줄 사람이 없다”고 밝혔다.
확산세가 밀집된 수도권의 경우 등교 이후 교직원 확진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24~25일(0시 기준) 432명이었던 교직원 확진자는 개학 직후인 지난 3~4일 973명으로 두 배 넘게 급증했다.
교육부는 지난 3일 ‘오미크론 대응 새 학기 학교방역 추진 현황’을 통해 교원추가 배치 및 대체인력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7만5000명 규모의 전국 시·도교육청 인력풀을 마련해 긴급 대체인력 수요를 지원하고, 학생 수가 많은 과밀학교를 중심으로 기간제 교사 8900명을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교사들은 교육부의 대체인력 지원책이 학교 현장에는 실효성이 없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대해 A씨는 “학교 현장에 대한 실질적 지원방안이 없다면 교육청 인력풀 규모는 기계적으로 모집된 숫자일 뿐”이라며 “지금은 교내에서 서로 도와가며 공백을 커버하는 상황인 거지 교육부의 긴급 인력풀은 의미가 없다”고 비판했다. 교육청이 인력풀 마련을 넘어 직접적인 인력 제공까지 책임져야 실효성 있는 지원이 이뤄진다는 주장이다.
C씨도 “허황된 정책”이라며 “예고된 공백은 시간을 두고 인력을 구할 수 있지만 확진 상황은 갑자기 생겨 대체인력을 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교사의 휴직이나 수술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공백은 학교가 미리 대처할 수 있지만, 갑작스럽게 확진 판정을 받는 코로나19의 경우 그럴 수 없다는 의미다.
개학 전후로 교내 대체인력 문제가 심각해지자 교사들은 교육 당국의 책임 있는 해결을 촉구했다. 학교가 교육청 인력풀에서 대체교사를 구하는 방식이 아닌 당국이 직접 인력을 제공해주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씨는 “근본적 해결을 위해선 학교가 인력풀에서 대체인력을 구하는 방식이 아니라 지원청 단위가 자체 인력풀을 보유해 교사 공백이 생길 시 당국에서 즉시 인력을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 당국은 시중 구인·구직 및 대리기사 앱처럼 대체인력 수요자와 구직자가 매칭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다만 내년 초께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당장 인력난에 처한 학교들이 도움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개발 중인 매칭 시스템에 대해 “학교는 어느 시간대 어떤 인력이 필요한지를, 구직자는 원하는 근무시간과 조건을 업로드한 뒤 두 개가 매칭되면 알림이 가는 것”이라며 “임용 서류 전송 및 온라인 면접도 이 플랫폼에서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 2학기엔 기간제 교원만을 대상으로 고려했지만 공무직 등 다양한 교내 직군을 모두 포괄하기로 결정했다”며 “확대 운영이 결정돼 상용화까지는 1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가 올해 상반기에 끝난다면 학교들에 직접 도움을 주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