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가 7년 만에 임시이사 체제로 회귀하는 가운데 임시이사회가 어떻게 구성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교육부에 따르면 사학분쟁조정위원회(사분위)는 지난 30일 회의를 갖고 조선대에 임시이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단 사분위는 교육부가 임시이사 9명의 두 배수를 추천했으나 추천 사유를 보완하고 인재풀을 두 배수보다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다음달까지 조선대 구성원과 광주·전남지역의 여론을 수렴해 임시이사 후보 인재풀을 확대할 방침이다.
임시이사 정원은 9명이며 법조인, 회계사, 교육행정 전문가 등으로 구성한다.
조선대 구성원들은 이사회 구성 갈등을 촉발시킨 구 경영진을 배제하고 민립대 정체성에 부합하는 인사를 임시이사로 선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선대 범시민대책위원회 실행위원장인 김성재 교수는 “조선대 이사회 구성 갈등 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목표는 설립 당시처럼 민립대를 재건립하는 것이다”며 “민립대 정체성에 반대되거나 역작용 할 수 있는 사람은 배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기존 2기 이사회 이사들은 임시이사회가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학 구성원들의 요구만을 받아들여 임시이사회가 편향적으로 구성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임시이사 파견의 절차적 부당성을 주장하고 있는 강현욱 2기 이사회 이사장은 “임시이사회에 기존 이사들이 참여하지 말라는 규정은 없다”며 “임시이사 구성이 확정되면 구체적인 대응 방침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1946년 국내 최초 민립대학으로 설립된 조선대는 대학 민주화투쟁을 통해 구 경영진이 1988년 물러난 뒤 22년간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되다 2010년 정이사 체제로 전환됐다.
하지만 정이사 체제에서 이사회 구성 문제로 갈등이 지속된 끝에 7년 만에 임시이사 체제로 회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