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7억 규모 전자칠판 보급사업, 132개 중 51개교 통합 구매 거부.
개별 구매 시, 행정, 예산 낭비는 물론 부조리 위험 커져.
개별 구매 51개교 중 대부분(48개교)이 사립학교.
학교는 통합구매 방침 준수하고, 교육청은 지도 감독 강화해야.
광주광역시교육청은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와 AI·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를 위해 총 97억 원 규모로 2024~2025년 전자칠판 보급사업을 시행했다.
당초 광주시교육청은 예산도 아끼고, 행정력도 줄이기 위해 통합구매를 원칙으로 정했으나, 전체 132개 대상 학교 중 51개교(약 39%)가 통합구매 방침을 거부하고 개별 구매를 선택했으며, 이 중 48개교가 사립학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우리 단체는 해당 사업 예산의 효율성, 제품의 품질, 계약의 공정성 등을 분석하기 위해 정보공개를 청구하여 사업을 살펴봤다. 그 결과, 통합구매 방식이 개별 구매에 비해 예산 절감 차원에서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전자칠판 보급사업 집행 결과 요약
통합 구매: 81개교, 582대 설치, 평균 단가 6,078천 원, 예산절감률 12.80%
개별 구매: 51개교, 395대 설치, 평균 단가 6,131천 원, 예산절감률 9.81%
특히, 통합 구매는 QLED 패널, OPS 내장 등 고사양 규격을 동일 적용하여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했다. 반면, 개별 구매의 경우 QLED 패널 채택은 13%(7개교), OPS 장착은 63%(32개교)에 불과했다. 더 많은 돈을 주고 더 낮은 품질의 제품이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개별 구매의 유일한 명분은 ‘다양한 제품 중 학교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겠다.’는 것인데, 개별 구매 학교들의 선택지도 결국 통합 구매 업체의 제품으로 귀결되는 경향도 확인되었다. 요컨대, 예산, 행정만 낭비되면서 개별 구매의 명분도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광주시교육청은 개별 구매 학교들에게 사업 집행 결과를 보고받고도, 각 학교가 어느 업체와 계약했는지조차 파악하지 않았다. 특정 업체로 계약이 편중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지도·감독을 하지 않겠다는 태도이다.
이미 타 시도에서는 전자칠판 보급사업 관련 일감 몰아주기, 리베이트, 업체 유착 등 심각한 부조리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는데, 이런 점들이 확인된 조건에서 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대비하지 않는 광주시교육청의 태도를 더욱 납득하기 힘들다.
📌 타 시도 사례
인천시교육청: 시의원 2명과 전자칠판 업체의 유착 혐의로 기소, 재판 진행 중
강원도교육청: 특정 업체 일감 몰아주기, 불필요한 사업 대상 확대 문제로 감사
시민의 주머니로 추진되는 사업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집행되어야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우리 단체는 아래와 같이 촉구한다.
– 개별 구매 학교의 사업 현황(계약 업체, 절차 등)을 조사하여 공개하라.
– 향후 전자칠판 보급사업 시 통합구매방침을 준수하라.
– 계약 부조리가 확인될 경우, 감사, 수사 의뢰 등 엄정 조치하라.
- 4. 29.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