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병설유치원 통폐합 문제를 놓고 광주시교육청과 교육시민단체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연령 별 학급 운영이 가능한 공립 병설유치원 재구조화와 함께 유아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병설유치원 통폐합을 추진한다.
대상은 전체 124개원 중 92개원이다. 재구조화 추진 일정은 2022년 12개원을 4개원, 2023년 29개원을 12개원, 2024년 38개원을 14개원, 2025년 13개원을 6개원으로 통합한다. 92개원을 36개원으로 통폐합 한다는 것이다.
추진 일정은 학생 수 감소 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시교육청은 설명했다.
광주 지역의 경우 다른 광역시교육청보다 1학급 규모의 병설 유치원이 많아 혼합반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연령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고 방과후 과정 부족·통학버스 미운영 등으로 인해 학부모 선호도가 낮다는 판단이다.
다른 지역 1학급 규모의 병설유치원을 살펴보면 대구 27개원(29.35%), 울산 20개원(24.69%), 대전 22개원(24.18%), 인천 35개원(20.83%)인 반면 광주의 경우 58개원, 49.15%에 달한다고 시교육청은 밝혔다.
시교육청은 연령별 학급 편성 병설유치원 재구조화를 통한 적합한 교육내용 제공, 교육환경 개선을 통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안정적 운영, 유아교육서비스 질 향상으로 만족도 제고 등을 통폐합 효과로 보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출산율 감소로 취원 대상 유아가 감소함에 따라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유치원 형태의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통폐합의 핵심 취지는 유아교육의 질 제고”라며 “시대환경 변화에 따른 것이다. 그 누구도 아닌 대상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광주 지역 교육시민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시교육청이 공립유치원의 대대적인 확충을 추진하고 있지만, 공립유치원의 운영과 질적 개선이 미비하고 공립유치원마다 선호도와 유치원 입학 대상이 천차만별이어서 정원을 채우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고 주장했다.
또 “병설유치원의 장점을 부정하는 처사이자 일시적으로 공립유치원 충원율을 높이려는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은 “원거리 통학으로 학부모의 불편을 초래하고 유아의 안전과 발달 단계를 무시한 편의주의적인 발상이다”며 “설령 통폐합에 따른 통학버스를 지원하더라도 멀리 떨어진 병설유치원을 보내니 차라리 유치원 교육과정이 같고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사립어린이집·사립유치원을 선택하는 등 역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유아교육의 공공성 강화는 공립유치원의 학급당 정원을 감축, 원아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권을 보장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유아교육의 기반을 다지는 중장기적 정책을 수립, 실행해 나가야 한다”며 병설유치원 통폐합 추진 중단을 거듭 촉구했다.